맨위로가기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5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52개 팀이 참가하여 4팀씩 13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상위 2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가봉이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으며, 모로코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결정으로 참가 자격을 회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은 대회 참가국의 조별 선수 명단, 국가별 선수 명단, 그리고 국적별, 리그별, 클럽별 선수 현황을 상세히 제공한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53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 중 45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잠비아를 꺾고 우승, 라시디 예키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에서 개최된 CAF 주최 국제 축구 대회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제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사디오 마네가 득점왕에 올랐다.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로고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로고
개최 기간2015년 6월 12일 - 2016년 9월 4일
참가 팀 수51
축구 연맹1
총 경기 수144
총 득점 수363
최다 득점 선수힐랄 수다니 (7골)
이전 대회2015
다음 대회2019
기타 정보
개최국 선정가봉
개최국 선정 발표일2015년 4월 8일

2. 대회 방식

지난 대회와는 달리 이번에는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처럼 단 한 단계의 조별 예선으로만 치러진다. 각 조당 4개 팀씩 13개 조로 이루어지며,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한다. 나머지 2장의 본선 진출권은 각 조 2위 팀 중 전적을 비교하여 추가로 부여한다. (단, 개최국 팀이 함께 편성되어 개최국 팀이 친선 경기를 치르는 조, 3개 팀만으로 구성된 조는 조 2위 팀의 추가 진출을 적용하지 않는다.)[2]

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2015년, 2013년, 2012년)와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기준으로 부여되었다. 시드 점수가 같을 경우는 최근 대회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고, 이마저도 동률일 경우는 공동 순위로 처리한다.[7][8]

에리트레아소말리아는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한편,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를 포기하여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던 모로코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징계가 해제되어 참가하게 되었다.

개최국인 가봉을 포함하여 52개 팀이 참가하며, 시드 배정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4


  • (*) 가봉은 시드 배정 후 개최국으로 선정되어 특별 포트로 분류되었다.

3. 1. 시드 배정표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2015년, 2013년, 2012년)와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기준으로 부여하였다. 시드 점수가 같을 경우는 최근 대회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고 이마저도 동률일 경우는 공동 순위로 처리한다.[7][8]

참가 예정인 52개 팀 (가봉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을 시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에리트레아소말리아는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다. 한편,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 포기로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던 모로코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판결 결과에 따라 징계가 해제되어 참가하게 되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시드 점수를 의미한다.

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4


  • (*) 가봉은 시드 배정 후 개최국으로 선정되어 특별 포트로 분류되었다.

4. 조별 리그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처럼 단 한 단계의 조별 예선으로만 치러진다. 각 조당 4개 팀씩 13개 조로 이루어지며,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한다. 나머지 2장의 본선 진출권은 각 조 2위 팀 중 전적을 비교하여 추가로 부여한다. (단, 개최국 팀이 함께 편성되어 개최국 팀이 친선 경기를 치르는 조, 3개 팀만으로 구성된 조는 조 2위 팀의 추가 진출을 적용하지 않는다.)[2]

팀 순위는 승점에 따라 정해졌다(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승점이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동점자 처리 기준이 적용되었다:[10]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원정 골;

# 기준 1~4를 여러 팀에 적용한 후, 두 팀이 여전히 동률인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두 팀 간의 경기에 대해서만 기준 1~4를 다시 적용한다. 이 절차로 결정이 나지 않으면 기준 6~9를 적용한다.

# 모든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경기에서 넣은 골;

# 모든 경기에서 넣은 원정 골;

# 추첨.

조별 리그는 2015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경기날짜
조별 리그 12015년 6월 12일 ~ 6월 14일
조별 리그 22015년 9월 4일 ~ 9월 6일
조별 리그 32016년 3월 23일 ~ 3월 26일
조별 리그 42016년 3월 26일 ~ 3월 29일
조별 리그 52016년 6월 3일 ~ 6월 5일
조별 리그 62016년 9월 2일 ~ 9월 4일



A조 ~ M조의 상세한 경기 결과는 A조 ~ M조 하위 섹션을 참고.

4. 1. A조 ~ M조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과 마찬가지로 조별 예선으로만 진행되었다. 52개 팀이 4팀씩 13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2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팀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한다. 개최국 팀(가봉)이 포함된 조와 3개 팀으로 구성된 조는 조 2위 팀의 추가 진출이 적용되지 않는다.[2]

  • '''A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411163+1313
6321114+711
6312118+310
6006124-230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1-04-18-1
0-02-15-0
1-02-25-0
0-30-20-1


  • '''B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501166+1015
6312911-210
612378-15
6033512-73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4-12-12-1
2-03-12-1
0-24-01-1
1-61-10-0


  • '''C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510133+1016
63211210+211
61146604
6105315-123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5-21-02-0
1-12-14-1
0-11-14-0
0-31-21-0


  • '''D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41162+413
641162+413
620458-36
610527-53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1-02-12-0
0-02-01-0
1-01-22-1
0-10-11-0


  • '''E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31277010
623197+29
61417707
612357-25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2-43-21-0
1-01-11-1
0-01-11-1
0-12-11-2


  • '''F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510101+916
6303117+49
621386+27
6105419-153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2-01-02-0
0-10-17-1
1-11-24-0
0-31-22-1


  • '''G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431071+610
41212205
401306-61
--------


  • 차드는 재정난으로 인해 예선을 기권[23]하여 모든 전적이 무효 처리되었다.[25]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1-03-0
1-11-02-0
0-20-0
1-50-1


  • '''H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420143+1114
621357-27
621396+37
6204315-126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3-11-17-1
0-00-11-0
0-12-35-0
0-21-01-0


  • '''I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412132+16
41122204
411223-14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
1-11-0
0-01-0
1-11-0


  • '''J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510255+2016
63211114-311
6114511-64
6105516-113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7-14-06-0
3-32-12-1
0-21-12-0
1-31-22-1


  • '''K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600132+1118
620479-26
620459-46
610527-53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3-12-02-0
0-21-32-0
0-21-31-0
1-20-01-0


  • '''L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321114+711
622269-38
62225508
612359-45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4-01-13-0
1-11-02-2
1-01-20-0
1-21-01-2


  • '''M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642072+514
622265+18
614186+27
602419-82



width="185"|width="30"|width="30"|width="30"|width="30"|
1-02-22-0
0-13-12-1
0-01-10-0
0-10-00-4


5. 각 조 2위 팀 간 순위

3개 팀으로 구성된 G조와 I조를 제외한 11개 조의 2위 팀 간 성적을 비교하여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2][12]

순위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결과
1 우간다641162+413결선 토너먼트 진출
2 토고6321114+711결선 토너먼트 진출
3 베냉63211210+211탈락
4 에티오피아63211114-311탈락
5 중앙아프리카 공화국6312911-210탈락
6 카보베르데6303117+49탈락
7 콩고 공화국623197+29탈락
8 모리타니622265+18탈락
9 에스와티니622269-38탈락
10 부룬디6204812-46탈락
11 모잠비크621357-27탈락


6. 본선 진출팀

예선출전 결정일출전 횟수
개최국2015년 4월 8일7번째 (2회 연속)
F조 1위2016년 3월 29일16번째 (2회 만)
J조 1위2016년 6월 2일17번째 (3회 연속)
M조 1위2016년 6월 3일18번째 (2회 연속)
K조 1위2016년 6월 4일14번째 (2회 연속)
G조 1위2016년 6월 4일23번째 (4회 만)
H조 1위2016년 6월 5일21번째 (7회 연속)
E조 1위2016년 6월 5일첫 출전
L조 1위2016년 6월 5일3번째 (11년 만)
C조 1위2016년 6월 5일10번째 (6회 연속)
I조 1위2016년 9월 3일22번째 (7회 연속)
D조 2위2016년 9월 4일6번째 (39년 만)
D조 1위2016년 9월 4일11번째 (5회 연속)
A조 1위2016년 9월 4일18번째 (13회 연속)
B조 1위2016년 9월 4일18번째 (3회 연속)
A조 2위2016년 9월 4일8번째 (2회 만)


7. 기록

팀별 득점 순위
순위경기 수득점실점골득실경기당 득점
1알제리6255+204.17
2튀니지6133+102.17
3토고6101+91.67
4세네갈6116+51.83
5가나6163+132.67
6말리6143+112.33
7콩고 민주 공화국6117+41.83
8콩고 공화국493+62.25
9기니비사우697+21.50
10에티오피아6132+112.17



팀별 실점 순위
순위경기 수득점실점골득실경기당 실점
1토고6101+90.17
2에티오피아6132+110.33
3라이베리아672+50.33
4튀니지6133+100.50
5가나6163+130.50
6말리6143+110.50
7콩고 공화국493+60.75
8알제리6255+200.83
9중앙아프리카 공화국665+10.83
10베냉665+10.83



; 7골


  • 힐랄 수다니


; 6골

  • 게타네 케베데


; 5골

; 4골

; 3골

  • 젤송
  • 무사 리마네
  • 세드릭 바캄부
  • 조던 아예우
  • 모하메드 주비야
  • 압둘라예 디아비
  • 셰이크 물레이 아메드
  • 어네스트 수기라
  • 사디오 마네
  • 탐산카 가부자
  • 야신 치카위
  • 윈스턴 칼렌고
  • 카마 빌리아트
  • 노리지 무소나


; 2골

  • 소피앙 페굴리
  • 파우지 굴람
  • 사피르 타이데르
  • 리야드 마레즈
  • 프레데릭 구농베
  • 조엘 모고로시
  • 빈센트 아부바카르
  • 자니니
  • 비아네이 마비데
  • 조던 마생고
  • 프린스 오니앙게
  • 조나단 볼링기
  • 조던 보타카
  • 조엘 킴와키
  • 폴 조제 음포쿠
  • 돔베 뮈벨레
  • 에밀리오 은수에
  • 살라딘 사이드
  • 크리스티안 아추
  • 아사모아 기안
  • 이드리사 실라
  • 제지뉴
  • 아유브 마시카
  • 앤서니 라포르
  • 치우케포 므소야
  • 제럴드 피리 주니어
  • 무사 둠비아
  • 모디보 마이가
  • 나빌 디라르
  • 도밍게스
  • 앱손 만자테
  • 피터 샬룰릴레
  • 빅토리엔 아데바요르
  • 자크 투이셍게
  • 루이스 레알
  • 마메 비람 디우프
  • 무사 코나테
  • 딘 수제트
  • 키건 돌리
  • 흘롬포 케카나
  • 아탁 루알
  • 펠릭스 바덴호르스트
  • 사벨로 은진이사
  • 토니 차베드제
  • 콤란 아그베그니아단
  • 플로이드 아예테
  • 코지오 포-도 라바
  • 사베르 칼리파
  • 타하 야신 케니시
  • 콜린스 음베수마
  • 커트버트 말라질라


; 1골

; 1 자책골

8. 추가 정보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는 총 52개 팀이 참가했으며, 개최국인 가봉은 자동 진출했다. 예선 조 추첨은 2015년 4월 8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UTC+2 15시에 진행되었다.[2][4] 개최국 팀도 조에 배정되었지만, 해당 경기들은 친선 경기로 간주되어 순위에 반영되지 않았다.

모로코2015년 대회 개최를 포기하여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으로부터 2017년과 2019년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으나,[5]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의해 번복되어 참가했다.[6]

팀 순위는 승점에 따라 정해졌다(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승점이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동점자 처리 기준이 적용되었다.[10]

1.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2.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3.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4.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원정 골;

5. 기준 1~4를 여러 팀에 적용한 후, 두 팀이 여전히 동률인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두 팀 간의 경기에 대해서만 기준 1~4를 다시 적용한다. 이 절차로 결정이 나지 않으면 기준 6~9를 적용한다.

6. 모든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7. 모든 경기에서 넣은 골;

8. 모든 경기에서 넣은 원정 골;

9. 추첨.

8. 1. 추첨 방식

총 52개 팀이 대회에 참가했으며, 개최국인 가봉은 자동 진출했다. 예선 조 추첨은 2015년 4월 8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2] UTC+2 15시로 연기되었다.[4] 개최국 팀도 조에 배정되었지만, 해당 경기들은 친선 경기로 간주되어 순위에 반영되지 않았다.

모로코2015년 대회 개최를 포기하여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으로부터 2017년과 2019년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으나,[5]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의해 번복되어 참가했다.[6]

추첨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9]

  • 개최국은 포트 X에 배정되어 친선 경기를 치를 그룹이 결정되었다. (해당 그룹은 3팀으로 구성)
  • 포트 1, 2, 3에 있는 13개 팀을 추첨하여 각 그룹에 한 팀씩 배정하였다.
  • 포트 4에 있는 12개 팀을 추첨하여 개최국이 포함된 그룹을 제외한 각 그룹에 한 팀씩 배정하였다.

8. 2. 타이브레이크

팀 순위는 승점에 따라 정해졌다(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승점이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동점자 처리 기준이 적용되었다.[10]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원정 골;

# 기준 1~4를 여러 팀에 적용한 후, 두 팀이 여전히 동률인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두 팀 간의 경기에 대해서만 기준 1~4를 다시 적용한다. 이 절차로 결정이 나지 않으면 기준 6~9를 적용한다.

# 모든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경기에서 넣은 골;

# 모든 경기에서 넣은 원정 골;

# 추첨.

참조

[1] 웹사이트 Gabon named hosts of AFCON 2017 http://www.cafonline[...] CAF 2015-04-08
[2] 웹사이트 FORMAT OF 2017 AFCON QUALIFIERS AND 2018 WORLD CUP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5-01-23
[3] 웹사이트 Accreditation for 37th CAF Ordinary General Assembly and Official Draw for AFCON 2017 qualifiers http://www.cafonline[...] CAF 2015-03-11
[4] 웹사이트 Results of AFCON 2017 qualifiers draw http://www.cafonline[...] CAF 2015-04-08
[5] 웹사이트 Morocco Fined, Banned From Two AFCON Tournaments http://www.cafonline[...] CAF Online 2015-02-08
[6] 웹사이트 Morocco win appeal over Afcon 2017 and 2019 bans https://www.bbc.com/[...] BBC Sport 2015-04-02
[7] 웹사이트 CAN 2017 DRAW PROCEDURE AND RANKING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5-04-08
[8] 웹사이트 CAF Ranking http://www.cafonline[...] CAF
[9] 웹사이트 Draw of the Qualifiers of CAN 2017 qualifiers http://www.cafonline[...] CAF
[10]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11] 웹사이트 Result of the drawing of lots http://www.cafonline[...] CAF
[12] 웹사이트 FORMAT OF 2017 AFCON QUALIFIERS AND 2018 WORLD CUP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5-01-22
[13] 웹사이트 Results of AFCON 2017 qualifiers draw http://www.cafonline[...] CAF 2015-04-09
[14] 웹사이트 Morocco Fined, Banned From Two AFCON Tournaments http://www.cafonline[...] CAF Online 2015-04-09
[15] 웹사이트 Morocco win appeal over Afcon 2017 and 2019 bans http://www.bbc.com/s[...] BBC Sport 2015-04-09
[16] 웹사이트 CAN 2017 DRAW PROCEDURE AND RANKING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5-04-09
[17] 웹사이트 CAF Ranking http://www.cafonline[...] CAF 2015-04-09
[18] 웹사이트 Draw of the Qualifiers of CAN 2017 qualifiers http://www.cafonline[...] CAF 2015-04-09
[19]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5-04-09
[20] 웹사이트 Result of the drawing of lots http://www.cafonline[...] CAF 2015-04-09
[21] 웹사이트 Benin vs Equatorial Guinea postponed to June 12 http://www.cafonline[...] CAF 2016-06-06
[22] 뉴스 CAN 2017: le Bénin bat la Guinée équatoriale http://afriquefoot.r[...] rfi 2016-06-13
[23] 웹사이트 Withdrawal of Chad from AFCON 2017 qualifiers http://www.cafonline[...] CAF 2016-03-29
[24] 웹사이트 Chad withdraw from Nations Cup on financial grounds http://www.bbc.com/s[...] BBC 2016-03-29
[25] 웹사이트 Results of AFCON 2017 qualifiers draw http://www.cafonline[...] CAF 2016-03-29
[26] 문서 베냉과 적도 기니의 경기는 2016년 6월 5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베냉 축구 협회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2016년 6월 12일로 연기되었다. 2016년 6월 10일에 베냉 축구 협회 회장이 새로 선출되면서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이 철회되었고 경기는 예정대로 진행되었다.
[27] 문서 리비아는 [[리비아 내전 (2014년~현재)|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다른 나라에서 치렀다.
[28] 문서 시에라리온은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의 여파로 인해 코트디부아르와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나이지리아에서 치렀다.
[29] 문서 기니는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의 여파로 인해 스와질란드와의 홈 경기를 모로코에서 치렀다.
[30] 문서 원래는 2015년 6월 13일 15:00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심판들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입국이 지연된 관계로 4시간 정도 연기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